무선인터넷 기술 동향
1. 무선인터넷 개요
¡ 무선인터넷은 무선으로 음성/데이터/영상정보를 송ㆍ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무선 환경에서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하여 정보를 송ㆍ수신하는 기술에 기반함.
¡ 무선인터넷은 무선고정인터넷에 비하여 전송 용량 및 속도면에서 제한이 있으나 이동성이라는 커다란 장점을 가지고 있음.
¡ 무선인터넷은 이동통신망의 발전에 따라 1세대 AMPS 망을 이용한 CDPD(Cellular Digital Packet Data)와 같은 초기 형태에서 출발하여, 2세대인 IS-95/GSM을 거쳐 3세대인 IMT-2000 기반의 무선인터넷으로 발전 하는 과정에 있음.
¡ 현재 2세대 이동통신망 기반으로 WAP, ME(Mobile Explorer), i-mode 등의 무선응용프로 토콜을 사용하여 무선인터넷 서비스 제공하고 있으며, 차후 무선인터넷은 차세대 이동통신망인 All-IP 망을 기반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됨.
¡ 무선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는 (그림1)과 같이 크게 단말기(Terminals), 네트워크(Network), 전송(Transport),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련 기술로 구분됨.
2. 무선인터넷 기술 동향
¡ 최근 급속한 무선인터넷 기술향상이 이루어지고 있음.
¡ 애로 사항이었던 이동전화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용량 확대는 휴대형 인터넷 세대의 필수 조건인 이러한 데이터 전송용량이 확대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구체적으로는 Push-oriented service와 장거리 접속 Intranet, Virtual Private Networks등이 가능하게 되어 기존 고정망에서 초고속 인터넷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ISDN, ADSL이나 케이블 모뎀 기술과도 직접 경쟁이 가능해 지고 있음.
¡ 프로토콜의 표준화 경쟁으로 인한 기술발전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WAP Forum 가입 회사들을 중심으로 한 WAP방식, MS와 Qualcomm 연합의 Mobile Explorer 방식, NTT DoCoMo의 i-mode방식이 경쟁하고 있으며, 이중 일단 무선인터넷 프로토콜은 WAP을 중심으로 표준화되면서 통신사업자, 시스템 제조업체, 단말기 제조업체, 컨텐츠 사업자들 사이에 제휴 및 상호협력이 가속화되고 있음. WAP은 기업 정보 접근을 위한 보안문제와 IMT-2000과 관련되어 음악과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프록시 서버(proxy serevr)의 과부하와 관련된 네트워크 관리문제에 관한 표준이 계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음. ME의 경우는 무선 단말기에 맞게 설계된 실시간 운영체계인 Window CE를 기반으로 하고, XML을 기초로 한 HTML과 WML모두를 지원하는 Dual Browser를 제공할 것임.
¡ 무선 단말기는 기존의 음성 위주의 단말기(voice only terminal), 저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스마트폰(smart phone), PDA기능을 복합적으로 구성하는 고속데이타 전송 단말기를 거쳐 비디오폰(video phone)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됨. 그리고,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무선 단말기는 현재의 신용카드 크기로 소형화되고 여러 기능이 복합화될 것이지만 기업을 대상으로 한 무선 단말기는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면서 용도에 적합한 형태로 전문화될 것으로 전망됨.
¡ 무선인터넷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용이 용이한 인터페이스와 효율적인 사이트들의 구성이 중요하며, 무선인터넷 접속을 위하여 조작 및 네비게이션이 간편한 인터페이스의 제공이 무선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기술상의 중요한 선결과제임.
¡ 유선인터넷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편한 인터페이스 하에서는 무선인터넷 사이트는 불필요한 네비게이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인 기호나 관심, 개인이 처한 시간적 공간적 상황에 적절한 사이트 구성의 최적화가 경쟁력을 좌우할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