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월 14일 목요일

네트워크 명령어

네트워크 명령어


1. 연결 유틸리티


1) FTP (File Transfer Protocol) : 인터넷상에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많은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내장 유틸리티


● 형식 : ftp 호스트명 (IP주소)


● 옵션

-A : 익명으로 로그온한다.

-n : 원격 호스트에 초기 자동 로그온을 금지한다.

-w : 크기 - 전송 버퍼의 크기를 바이트(byte)단위로 지정한다.

     (default = 4096byte)

-i : 여러 파일을 전송하는 동안 프롬프트가 나타나지 않게 한다.

-s: 파일명 - 대화형 세션을 시작하는 대신에 지정한 파일 내에 있는 ftp 명령을       실행한다.

-v : 원격 서버의 응답 메시지를 나타나지 않게 한다.

-a : 로컬 인터페이스를 사용gis다.

-g : 파일 이름에 와일드 카드 형식을 사용하는 글로빙을 비활성화한다.

-d : 디버깅 메시지를 활성화 한다.


2) telnet : 텔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 호스트에 대화형 세션을 시작한다.


● 형식 : telnet 호스트명(IP주소)


2. 진단 유틸리티


1) Arp :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 주소와 토큰링 또는 IP 주소와 이더넷의 물리적 주소 변환 테이블을 표시하고 수정한다.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물리적인 주소를 체크할수 있다.


2)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인지 확인한다.

               내 컴퓨터의 상태 IP주소와 MAC주소등을 알 수 있습니다.




실습결과 IP address : 220.68.239.36

         MAC address : 00:04:76:7E:F9


3) Netstat : TCP/IP 연결을 통한 현재 NetBios의 상태를 검사하고 Lmhosts 캐시를 업데이트하고 등록된 이름과 범위 ID를 결성한다.


 형식 : netstat [-r] [-i] [-s] [-p] [-c] [-a]

  -r : 라우팅 테이블을 출력

  -i : 인터페이스 테이블을 출력

  -s : SNMP와 같은 네트워크 통계를 출력한다.

  -p : 소켓에 대한 PID/프로그램을 출력한다.

  -c : 계속되는 리스트를 출력한다.

  -a : 연결된 모든 소켓을 출력한다.



4) nslookup : DNS 서버를 쿼리하여 기록, 도메인 호스트 별칭, 도메인 호스트 서                비스 및 운영 체제 정보를 확인한다.


 형식 : nslookup [ <hostname | IP address> ] [name server]


5) ping : IP 수준의 연결서을 확인 할 수 있다.


① ping 127.0.01 : 루프백 주소를 ping 해서 로컬 컴퓨터에 TCP/IP가 설치 되어                      있는지, 구성 되어 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② ping [locl host의 IP] : 로컬 컴퓨터의 IP가 네트워크에 올바르게 추가 되었는                            지 확인 할 수 있다.

③ ping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 기본 게이트웨이가 작동하는지 그리고 로컬 컴퓨                               터의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④ ping DNS 주소 : DNS 서버와 통신을 할 수 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6) Tracert : IP 데이터 그램이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거치게 되는 경로를 추적               할는 유틸리티이다.


7) traceroute : 원격 호스트의 경로 추적 확인

             특정 호스트 또는 IP까지 연결된 노드(node)를 알아보는 명령어이다.

             네트워크에 특정 장애가 있을 경우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usr/sbin/traceroute 디렉터리에 존재해 ‘root’로 로그인 해야만 사용.


● 형식 : traceroute <대상 호스트 | IP address>


실습결과 www.yahoo.com의 IP adress와 중간에 15개의 노두(주로 게이트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위의 캡쳐는 화면 크기 문제로 ctrl+c로 중단한 것입니다.

자신의 호스트(0)에서 출발하여 마지막 게이트 웨이(16)까지 각각 38bytes패킷을 주고 받는 데 모두 성공한 경우이다. 각 노드와 패킷을 주고 받는 상황을 살펴보면 어느 지점에서 트래픽 장애가 일어나는지 대충 짐작할 수 있다.



8) route : 라우팅 기능 제어, 시스템에 라우팅 테이블이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 하             는 명령



라우트 실습 도중에 이더넷이 공사 중이라 안되는 바람에 다 완성하지 못해습니다. -_ㅜ


형식

route [-n] : 라우팅 테이블 확인

 route add -net <네트워크 주소> netmask <netmask 값> dev <인터페이스 이름>

   : 라우팅 정보 추가

route del -net <네트워크 주소> netmask <netmask 값> [dev <인터페이스 이름>]

   : 라우팅 정보 삭제

 route add default gw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dev <인터페이스 이름>

   : 기본 게이트웨이 추가

route del default gw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dev <인터페이스 이름>

   : 기본 게이트웨이 삭제


① 라우팅 정보를 추가·또는 삭제할 수 있으며, 명령어는 /sbin/route에 있다.

② 시스템이 재 부팅되면 그 정보는 모두 사라진다. 따라서 /etc/sysconfig/network 파일이나 기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에 그 정보를 직접 설정해야 한다.


3. 기타 명령어


hostname : 호스트 네임을 화면에 출력

host : 원격의 호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