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월 14일 목요일

CSU/DSU 설정법.

1.LED
Sync / Async
-동기통신인지 비동기통신인지를 선택한다

TXD(Transmitted Data)
-터미날이 Space 신호 또는 “0”을 전송할때 on 이 된다
터미날이 Mark 신호 전송시나 송신 데이터가 없을때 off 된다

RXD(Received Data)
-선로로 부터 Space 신호 또는 “0”가 수신될때 on 이 된다
선로로 부터 Data 가 수신되지 않거나 Mark 신호 전송시 off 된다

RTS(Request To Send)
-DTE가 DCE에 데이터 송신유구를 할때 점등된다

CTS(Clear To Send)
-DCE 가 DTE에 데이터 송신가능을 표시할때 점등된다

DTR (Data Terminal Ready)
-DTE 동작완료상태를 표시한다

DSR(Dats Set Ready)
-DCE 동작준비 완료상태를 표시 한다

DCD(Dats Carrer Detect)
-상태국 DCE(modem.dsu,,,)로 부터 수신된 반송파유무를 표시해 준다

2. KEY 기능
MENU Key
-메뉴를 선택할때 사용한다
키를 누를때 마다 메뉴가 차레대로 나타난다

SEL Key
-커서를 이동할때 사용한다
이키를 누를때마다 해당 Menu의 SUB memu로 이동

ENTR Key
-커서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항목을 선택 또는 저장할때 사용한다

FUNC Key
-기능을 선택할깨 사용한다

3.자체시험TEST
ALB(Analog Loop Back)=LLB(Local Loop Back)
-Modem 의 변조부에서 변조된 신호가 선로레 송출되기 직전에 다시 Modem의 수신선으로 되돌려주며 또한 수신선로를 송신선로에 Loop 시켜준다

DLB(Digital Loop Back)
-선로로부터 들어온 신호가 Modem의 복조부에서 복조되고 복조된 테이타는 터미날로 전해지지 않고 변조부로 전해져 변조부에서 디시 변조된 후 선로에 송출하며 또한 DTE 로 부터 들오온 신호는 다시 DTE 로 되돌려 준다

RDLB(Remote Digital Loopback)
-통신선로 상태및 상대국 DSU를 시험하는것으로 이시험시 자국 DTE 또는 자국 DSU 에서는 시험패턴을 송출하여 상태국이 재 송출할수 있도록 상대국 DSU를 자동으로 DLB 상태가 되도록 하며 자국은 송수신 패턴을 비교한다

**클럭에 관해서 **
@ 메뉴버튼을 누르다보면 "INT","EXT","LOOP","DDS" 라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에 대하여 알아보자. INT DSU에서 발생한 송신클럭을 DST로 보낼 때 사용 EXT DTE로부터 송신클럭을 받아서 사용할 때 사용 LOOP DSU의 수신데이타로부터 추출된 클럭을 송신클럭으로 사용할 때 DDS DDS망에 연결되어 사용될 때 DSU의 수신데이타로부터 추축된 클럭을 송신클럭으로 사용할 때
@ 직접회선을 개통할 때 56K의 경우에 클럭을 꼭 맞추지 않아도 회선개통할 때 그렇게 큰 영향은 주지 않는다.
@ 그러나 128Kbps 이상을 개통할 때는 꼭 클럭을 확인해야 한다.
예를 들어 HSM으로 128Kbps를 개통할 때 데이터가 잘 오다 갑짜기 깨지거나 늦어지는 경우에는 꼭 송신측과 수신측 그리고 전화국의 HSM장비의 클럭을 확인해서 서로 맞추어야 한다. 요즘은 128Kbps- 512Kbps 정도까지는 FDSU로 개통을 많이 한다.
FDSU는 클럭을 자동으로 맞추어 주기때문에 HSM 보다는 훨씬 쉽게 전용회선을 잡을 수 있다.
@ 클럭이란 컴퓨터가 일을 하기 위해 주어지는 일정한 리듬을 말한다.
@ 아날로그형 전기에서는 주파수라고 얘기하지만 디지털에서는 클럭이라고 부른다.
@ 클럭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주기 신호로 컴퓨터는 신호가 변화할 때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클럭의 단위로는 MHz가 사용된다.
@ 1MHz는 1,000,000Hz를 의미하는데 1초 동안 한번의 주기가 반복되는 것을 1Hz라고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