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월 14일 목요일

FDSU, DSU, CSU의 차이

DSU는 Digital Service Unit의 약자이고 FDSU는 앞에 Fast가 덧 붙은것...
CSU는 Channel Service Unit의 약자입니다.

모두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전송하기 위한 접속 장비이고 속도에 따라 접속 기기가 달라집니다.
보통 512K 이하는 FDSU를 이용하여 접속하고 T1(1.544M)이상인 경우에는 CSU로 접속하게 됩니다.

다음은 야후 IT용어사전에서 검색한 내용입니다.

-------------------------------------------------------------------------------

디지털 서비스 장치 [ -裝置 digital service unit(DSU) ]
디지털 회선용의 회선 종단 장치.
주 컴퓨터나 각종 데이터 단말 장치(DTE)를 고속 디지털 전송로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는 데 필요하다.
디지털 서비스 장치(DSU)는 고객의 댁내(구내)에 설치되어 통신 사업자의 전송로를 종단하고 주 컴퓨터나 DTE와의 상호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주 컴퓨터나 DTE로부터 송출되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로 측에 적합한 신호 형식으로 변환하고 역으로 전송로 측의 신호를 주 컴퓨터나 DTE의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한다.
DSU는 모뎀과 마찬가지로 동기 신호(timing signal)를 공급하는 기능,회선의 상태를 감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동기 신호는 회선 또는 통신망으로부터 받는 신호로 주 컴퓨터나 DTE는 이 동기 신호에 맞추어서 수신을 행한다.
DSU는 되돌림 시험(loopback test)과 성능 감시 같은 회선의 유지 보수 기능도 수행한다.
DSU는 데이터 서비스 장치(data service unit)라고도 하며,인터페이스의 종류와 전송 속도에 따라 몇 가지 종류가 있다.

DSU는 통신 사업자로부터 대여받을 수도 있고 사용자 자신이 설치할 수도 있는 고객 댁내 장치( CPE)로 분류된다.

채널 서비스 장치 [ -裝置 channel service unit(CSU) ]
고속 디지털 전용 회선용의 회선 종단 장치.
장거리 통신 사업자들이 DS-0(64kbps),DS-1(1.
544Mbps),DS-2(6.
312Mbps) 등 고속 디지털 전용 회선의 물리적 특성을 관리하기 위해 원하는 고객의 댁내(구내)에 설치하는 장치이다.
디지털 서비스 장치(DSU)나 다중화기(MUX)와 전용 회선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및 버퍼로서 동작한다.
채널 서비스 장치(CSU)는 전용 회선의 전송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회선 조절(line conditioning) 기능,고객 댁내 장치가 전송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는 보호 기능,되돌림 시험,성능 감시와 같은 회선의 유지 보수 기능,타이밍 신호의 공급 기능 등을 수행한다.
CSU는 DSU와 하나의 장치로 결합될 수 있으며,하나로 결합된 장치를 DSU/CSU라고 한다.


FDSU의 F는 Fast가 아니라 Fractional입니다.

DSU/CSU, FDSU는 디지털 모뎀으로 컴퓨터나 라우터 같은 DTE장비의 디지털 신호를 통신 사업자가 사용하는 디지털 신호를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전송 속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DSU: 56k~64k
FDSU: 128k~768k
CSU: T1 (1.544M), E1 (2.048M)

라우터-----DSU/CSU------------(전용선)--------------DSU/CSU--------라우터

PC------Moden---------------(공중전화망)-------------Modem---------라우터







===============================================================================

1. 디지털 모뎀 (Digital Modem)
DSU : 56Kbps~64Kbps 속도의 전용회선에서 사용합니다.
HSM : 128Kbps 이상의 회선용이며, 전화국과의 거리가 3Km 미만일 때 사용합니다.
CSU : 128Kbps 이상의 회선용이며, 전화국과의 거리가 3Km 이상일 때 사용합니다.

☆ DSU는 Digital Service Unit 또는 Data Service Unit이라 합니다. 보통 PC 에서 많이 사용하는 MODEM (MOdulator DEModulator)은 아나로그 회선에서 사용하며 디지털 데이터를 아나로그 신호로 바꾸거나 그 역의 기능을 합니다. DSU는 디지털용 회선에 사용하는 장비인데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혼동될 수도 있는 디지털 데이터와 디지털 신호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 데이터 (PC 등에서 보통 사용하는 이진 데이터 0 0 1 0 1 1 0 1 0 0 0 1 0 1 0)
- 디지털 신호 ( 전송로로 전송되기 위해 변환을 거친 신호) 흔히 pc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0" , "1" 이 실제로 물리적인 전용회선으로 전송되는 것은 아니고 전송로로 전송 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예를 들면 "1"은 5Volt 를 가진 파형, "0" 은 0Volt를 가진 파형) 변환됩니다. 그 변환을 하는 것이 종단장치의 역할입니다.

☆ 점차 많은 데이터 전송이 필요해 지면서, 56K 이상의 전용회선을 사용하게 됨에따라 고속 데이터 전송용으로 나온 것이 HSM 입니다. 전용회선도 56K 한채널이 아니고 다수의 채널을 모은것을 사용합니다. 한 채널이 아니고 여러 채널로 이루어져 구성된 만큼 데이터가 한번에 지나갈 수 있는 폭이 넓어진 것이므로 한번에 많은 양을 보낼 수 있기 때문에 고속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습니다.

HSM 장비는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컴퓨터, 라우터등 다양한 동기식 데이타를 전송 장치들의 데이타를 64K ~ 768K 로 통신 가능하도록 해주는 고속 근거리 모뎀입니다. 운용상 한계특성으로 메뉴얼 내용과는 달리 768K는 링크되기가 어렵고 512K도 전화국과의 거리가 상당히 근거리가 아니고서는 구성이 어렵고 개통되더라도 loss가 생깁니다. 이 고속모뎀은 속도에 따라서 제한거리가 달라지는데 128K 속도에서는 보통 실선인 경우 2.7Km 의 거리까지 가능합니다.

☆ CSU(Channel Service)란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channel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1channel은 64Kbps의 전송속도를 가지는데 흔히 많이 사용하시는 56K/64K는 1ch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찬가지로 128K는 64 * 2 = 128 이므로 두개의 채널을 사용합니다. 256K 나 512K도 마찬가지로 전송로에 할당된 채널이 여러개입니다. 그래서 속도가 128K인가 256K인가는 하는것은 2개의 채널을 사용하는가 4개의 채널을 사용하는가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실제적인 전송에 있어서, 각각의 단채널들이 따로따로 전송되는 것은 아닙니다. 즉, 먹스라 불리우는 집중 장비가 여러개의 채널들을 모아서 하나의 대용량 전송로를 통하여 한꺼번에 전송되는 트렁크 방식으로 전송됩니다. CSU는 바로 이러한 트렁크라인(T1이나 E1)을 그대로 수용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전송방식의 차이로 T1은 24channel이 가능하고 E1은 30channel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연결된 T1 이나 E1 전송로는 CSU의 옵션에 따라서 채널수가 지정되고 정해진 채널수에 따라서 그에 따르는 전송로의 전송속도가 결정됩니다. CSU는 T1, E1 라인을 접속하여 내부에서 채널을 옵션에 따라 분류하여 512K 등의 고속급 전송을 합니다.

CSU는 Channel Service Unit의 약자로 T1 또는 E1 트렁크를 수용할 수 있는 장비로서 각각의 트렁크를 받아서 속도에 맞게 나누어 분할하여 쓸 수 있는 장비입니다. 예를 들어 512K 인 경우는 T1, E1단위로 받은 트렁크라인 중에서 8개의 채널을 분할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좌우측의 채널하나 또는 여러 개의 고속급 채널들은 먹스 집중화 장치로 연결되면서 하나의 트렁크라인으로 모여서 전송됩니다. 이것을 트렁크 전송이라 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