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를 공부함에 있어 서브넷 마스크 부분은 그 기초가 된다. 서브넷 마스크 챠트를 통해 서브넷 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자. 아래 나와 있는 표가 바로 서브넷 차트이다.
Bits | Increment | Subnet Mask | Number of Subnets | C | B | A |
1 | 128 | 128 | 1 | 126 | 32766 | 8388606 |
2 | 64 | 192 | 2 | 62 | 16382 | 4194302 |
3 | 32 | 224 | 6 | 30 | 8190 | 2097150 |
4 | 16 | 240 | 14 | 14 | 4094 | 1048574 |
5 | 8 | 248 | 30 | 6 | 2046 | 524286 |
6 | 4 | 252 | 62 | 2 | 1022 | 262142 |
7 | 2 | 254 | 126 | 1 | 510 | 131070 |
8 | 1 | 255 | 254 | - | 254 | 65534 |
첫 번째 컬럼인 Bits는 서브넷 마스크의 다음 옥테트에서 얼마나 많은 비트를 사용할 것인지를 알려준다. 예를 들어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224 라면 서브넷 마스크의 마지막 옥테트에서 3 비트를 사용한다. 이 부분을 좀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255.255.255.224를 2진수로 표현하면 서브넷 마스크는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 가 된다. 여기서 마지막 옥테트는 11100000이고 3비트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27비트 서브넷 마스크라고 불리기도 한다.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에서 왼쪽부터 1의 갯수가 총 27개이다. 그리고 마지막 옥테트에서의 1은 3개이다. 위의 표에서 Bits가 3인 부분을 보면 Subnet Mask가 224임을 확인할 수 있다)
만일 192.168.0.0/27과 같이 기술되어 있는 IP 블럭이 있다면 /27로부터 10진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224임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보자.
172.16.0.0/20 이라는 IP 블럭이 있다면 20비트 서브넷 마스크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를 2진수로 표현하면 11111111.11111111.11110000.00000000이 된다(왼쪽부터 1의 갯수가 20개). 세 번째 옥테트에서 4비트를 사용하므로 이 4비트가 서브넷 마스크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보아야 한다. 위의 표에서 Bits가 4인 경우 Subnet Mask가 240에 해당되므로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40.0이 된다.
서브넷 마스크에 있어서 좋은 점이 또 있다. 2진 서브넷 마스크의 모든 숫자를 더하면 차트에서 본 숫자와 같은 값을 얻게 된다.
그렇다면 2진 서브넷 마스크를 직접 더해보도록 하자. 앞의 11111111.11111111.11110000.00000000을 예로 든다면, 첫번째 옥테트는 11111111(8개) 이다. 이들 8개를 모두 더하면 255가 된다. 2진수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더해나가고 각 포지션은 이전 포지션의 두 배가 된다. 즉,
1 1 1 1 1 1 1 1 128 64 32 16 8 4 2 1 = 255 |
따라서 세 번째 옥테트 11110000은 128+64+32+16=240이 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서브넷 마스크는 항상 128, 192, 224, 240, 248, 252, 254, 255 가운데 하나일 수 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255.255.240.0 서브넷 마스크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255 | 255 | 240 | 0 |
11111111 | 11111111 | 11110000 | 0000000 |
128+64+32+16+8+4+2+1 | 128+64+32+16+8+4+2+1 | 128+64+32+16+0+0+0+0 | 0+0+0+0+0+0+0+0 |
댓글 없음:
댓글 쓰기